처음헌법연구소(Tel.02-831-4753)

[주간경향, 1243호][내 인생의 노래]라나에로스포의 ‘사랑해’-남북분단의 현실을 알게 되다 <조유진 처음헌법연구소장> 본문

미디어

[주간경향, 1243호][내 인생의 노래]라나에로스포의 ‘사랑해’-남북분단의 현실을 알게 되다 <조유진 처음헌법연구소장>

조유진 소장 2017. 9. 6. 11:18

주간경향의 [내 인생의 노래]라는 연재 칼럼에 라나에로스포의 '사랑해'라는 노래에 관한 추억을 썼습니다.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자신만의 인생노래에 관한 추억을 소환한 코너에 저 또한 쓸 수 있게 되어서 영광이고 감사드립니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201709041652031&pt=nv

 

인간의 자아의식이 명료해지는 것은 대략 4~6세 사이인 것 같다. 이때가 되면 자아의식은 어떤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서 표면의식으로 불쑥 솟아오르게 된다. 그 이전의 기억이 파편적으로, 연속성 없는 퍼즐 조각처럼 존재한다면 그 이후에는 기억이 지속성을 갖게 되며 현재의 나 자신과 뚜렷이 이어진다.


‘사랑해’는 나의 자아의식이 깨어날 무렵인 6살때 처음으로 접한 노래다. 1971년, 우리 가족은 형편이 어려워져서 본적지인 영등포를 떠나 잠시 돈암동 친척집에 머물고 있었다. 친척집은 당시 유행하던 아담한 신식 한옥집이었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일하러 나가시고 친척 할아버지 할머니도 모두 나가시면 나와 두살배기 동생만 집에 남았다.

그럴 때 동생을 돌보는 것이 나에게 주어진 임무였다. 그러나 불성실하고 무책임한 형이었던 나는 동생 입에 공갈 젖꼭지를 물리고 보행기에 태워 마루에 풀어놓은 다음 대청 유리 미닫이문을 닫아놓은 채 내 볼 일을 보러 쏘다녔다. 특히 이웃집에 동갑내기가 있어서 자주 놀러 갔다. 그 친구의 이름은 지훈이다. 지훈이는 내가 그 이름을 기억하는 최초의 친구다. 지금 돌이켜보면 무례했다 싶을 정도로 나는 그 집에 거의 매일 놀러갔다.

요즘 아이들이 스마트폰에 열광하듯 당시에는 눈에 밀착해서 들여다 보는 회전식 컬러슬라이드가 최고의 장난감이었다. 나는 지훈이의 회전 슬라이드를 들여다보면서 탄성을 질러대곤 했다. 그러던 어느날 지훈이 어머니가 음악을 들려주셨는데 그 노래가 바로 ‘사랑해’였다. 레코드 판에서 흘러나오는 감미로운 노랫소리를 듣고 있으면 마치 꿈을 꾸는 것처럼 몽롱해졌다. 나는 지훈이와 함께 노래를 따라 부르곤 했다. 특히 “예이~예이~예이~예예예 예이~예이~예이” 부분에서는 장난기가 발동하여 함께 목소리를 높이며 깔깔대고 웃었다. 지훈이 어머니도 다정하신 목소리로 우리와 함께 노래를 불러주셨다. 나는 이 노래를 하도 많이 듣고 따라 불러서 가사를 다 외우게 되었다. 하루는 내가 우리 부모님 앞에서 ‘사랑해’를 불렀더니 아버지께서 어머니에게 이 노래가 KAL기 납북사건(1969년)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북한에서 돌아오는 길에 북한 사람들과 함께 부른 노래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다. 나는 북한이 뭐냐고 아버지께 여쭤봤다. 그러자 아버지께서는 우리나라가 원래 하나의 나라였는데 지금은 남과 북으로 나눠졌다고 설명해주셨다. 나는 그때 처음으로 남북분단의 현실을 알게 되었다.

훗날 ‘사랑해’는 1972년 평양에서 개최된 역사적인 첫 남북적십자회담에서 우리 측 이범석 수석대표와 북측 김태희 대표단장이 손을 맞잡고 불러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해서 ‘사랑해’는 남북이 공식석상에서 함께 부른 최초의 노래가 되었다. ‘사랑해’는 원래 60년대 말 대학가에서 불려지던 작자 미상의 노래였는데 1971년 라나에로스포가 1집 앨범에 수록하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후 ‘사랑해’는 국민가요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최근 북한 핵·미사일로 한반도 정세가 위기에 처해 있다. 세계 냉전의 마지막 꼭지가 모진 암운을 드리우고 있다. 먹구름이 걷히고 남북이 함께 ‘사랑해’를 부를 그 날이 언제 다시 올 것인가?

사랑해 당신을
정말로 사랑해
당신이 내곁을
떠나간 뒤에
얼마나 눈물을
흘렸는지 모른다

<처음헌법연구소장 조유진>